생활

날짜선택
  • 천일염 생산어가 수산직불금 지원...전남 714곳
    어촌지역 어업인의 소득보전을 위한 ‘조건불리지역 수산직불금’이 천일염 생산어가에도 지급됩니다. 전남도는 지난해 수산업법 개정과 수산직접 지불제 개선에 따라 그동안 어업으로 포함되지 않아 직불금 대상에서 제외됐던 천일염 생산어가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전남지역 천일염 생산어가는 천 3곳으로 전국의 92.6%를 차지하고 있으며,전국 천일염의 90% 이상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2017-03-04
  • 3/3(금) 8뉴스 타이틀 + 주요뉴스
    1.('골재 채취한다며...'지하 20미터 파헤쳐) 함평의 한 건설업체가 골재를 채취하겠다며 농경지를 규정보다 3배 깊은 지하 20미터까지 마구 파헤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업체에게 농토를 빌려준 농민들은 분화구처럼 깊게 팬 땅을 보고 망연자실해 하고 있습니다. 2.(AI에 구제역 장기화 (몸도 마음도 ‘녹초') AI에 이어 구제역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방역과 예방활동에 나선 방역요원들이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밤낮 없는 비상근무에 몸과 마음이 녹초가 돼가고 있습니다. 3.(안개 속 호남 민심...
    2017-03-03
  • 故 오승윤 화백 특별전 '꽃과 풍수'..무각사 로터스갤러리
    전통 오방색을 바탕으로 한 故 오승윤 화백의 작품전이 광주 무각사 로터스갤러리에서 시작됐습니다. '꽃과 풍수'를 주제로 한 이번 특별전에는 봄기운이 물씬 풍기는 오승윤 화백 특유의 오방색 꽃과 자연을 담아낸 작품 20여 점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고 오승윤 화백은 한국 인상주의 대가인 오지호 화백의 아들로 전남대 예술대를 창설했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구상화가로 활동하다 지난 2006년 작고했습니다.
    2017-03-03
  • 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하정웅미술관'으로 개관
    【 앵커멘트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이 '하정웅미술관'으로 새롭게 탈바꿈했습니다. 미술품 컬렉터인 하정웅씨는 그동안 광주에 2천5백점이 넘는 미술품을 기증해 예향 광주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백지훈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이 미술품 컬렉터인 재일교포 2세 하정웅의 이름을 딴 '하정웅미술관'으로 재탄생했습니다. ▶ 스탠딩 : 백지훈 기자 - "하정웅은 지난 1993년부터 6차례에 걸쳐 2천 5백 점이 넘는 작품을 기증해 예향
    2017-03-03
  • 신입생 0명, 입학식 못 해...학생절벽 '직면'
    【 앵커멘트 】새학기가 시작됐지만 입학식도 열지 못하는 학교가 있습니다 . 광주·전남 초·중·고교 학생 수가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빚어지는 현상입니다. 정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강진의 한 초등학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입학식을 열지 못했습니다. 신입생이 1명도 없어섭니다. 여수의 이 초등학교 분교는 3년째 휴교중입니다. 입학생이 3년간 한명도 없어, 사실상 폐교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올해 신입생이 없어 입학식을 열지
    2017-03-03
  • <3/3(금) 모닝 730 기상센터> 양미희
    *아침 쌀쌀,한낮 포근 하루에 두 계절이 느껴지겠습니다. 아직 겨울 옷을 정리하긴 이른데요 밤사이 찬 공기가 더 강해지면서 오늘 아침까지는 춥겠습니다 이번 추위 역시 빠르게 물러나겠고 낮부터는 포근하겠는데요. 다만 큰 일교차에 감기가능지수가 매우 높음단계까지 오르는만큼 감기걸리지 않도록 건강관리 잘해주셔야겠습니다. 오늘 아침기온은 광주 영하2도 목포0도로 출발했고요 낮부터는 기온이 크게 올라서 낮최고기온 광주13도 여수 11도로 예상됩니다. 일교차가
    2017-03-03
  • <3/3(금) 모닝 730 타이틀 + 주요뉴스>
    1.(2월 임시국회 폐회...지역법안 '미처리') 어제 폐막된 2월 임시국회에서 5.18 헬기사격 진상조사를 촉구하는 결의안이 통과됐습니다. 하지만 '5.18특별법 개정안' 등 지역주요 법안은 대부분 처리가 무산돼 '빈손국회'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2.(오리 취약한 AI 확산)...전남 '초비상') 주춤하던 AI가 다시 확산되고 있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바이러스에 오리가 특히 취약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국 최대 오리 집산지인 전남에 초비상이 걸렸습니다. 3.(공공기관 지역 채용 저조) "이유 있
    2017-03-02
  • 공공기관 지역 채용 저조 "이유 있었다"
    【 앵커멘트 】나주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 인재 채용이 낮은 데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이전기관의 소극적인 태도도 문제지만, 지역 대학들이 채용 요건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정의진 기잡니다. 【 기자 】한전의 올해 채용 계획입니다. 지원서부터 면접까지 모든 채용과정에서 NCS, 즉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토익이나 각종 스펙을 채워넣는 공간은 최소화하고, 직무 능력을 보겠다는 겁니다. 한국농어촌공사도 올해부터 필기를
    2017-03-02
  • 광주 지역 대학 2017학년도 입학식 개최
    광주 지역 주요 대학들이 오늘부터 새학기를 시작했습니다 . 전남대는 신입생과 학부모, 교수 등 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입학식을 열고 올해 새학기 학사일정에 들어갔습니다. 광주교대와 동강대 등 광주*전남 지역 대부분 대학들도 입학식과 함께 2017학년도 새학기를 시작했습니다. kbc 광주방송 김재현 기자
    2017-03-02
  • 봄철 광주지역 나무시장 개장...4월 15일까지 운영
    봄철 나무심기 기간을 맞아 꽃과 나무를 시민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나무시장’이 개장됐습니다. 산림조합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오늘부터 광주 광산구 수완동에 '봄철 나무시장’을 열고 감나무, 사과나무, 대추나무 등 유실수와 편백, 소나무 같은 산림용 묘목, 조경 자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오는 4월 15일까지 운영되는 ‘ 나무시장’에서는 묘목과 꽃 심는 요령 등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kbc 광주방송 김효성 기자
    2017-03-02
  • 광주 지역 대학 2017학년도 입학식 개최
    광주 지역 주요 대학들이 오늘부터 새학기를 시작했습니다 . 전남대는 신입생과 학부모, 교수 등 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입학식을 열고 올해 새학기 학사일정에 들어갔습니다. 광주교대와 동강대 등 광주*전남 지역 대부분 대학들도 입학식과 함께 2017학년도 새학기를 시작했습니다.
    2017-03-02
  • 봄철 광주지역 나무시장 개장...4월 15일까지 운영
    봄철 나무심기 기간을 맞아 꽃과 나무를 시민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나무시장’이 개장됐습니다. 산림조합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오늘부터 광주 광산구 수완동에 '봄철 나무시장’을 열고 감나무, 사과나무, 대추나무 등 유실수와 편백, 소나무 같은 산림용 묘목, 조경 자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오는 4월 15일까지 운영되는 ‘ 나무시장’에서는 묘목과 꽃 심는 요령 등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17-03-02
  • <3/2(목) 모닝730 타이틀 + 주요뉴스 >
    1.(광주군공항 이전'첩첩산중'...설명회'미정')수원*대구와 달리 광주 군 공항 이전사업은 별다른 진척이 없습니다. 광주시는 이달부터 전남 22개 시*군을 돌며 이전설명회를 갖겠다고 밝혔지만,아직 한 곳도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2.(일베, 지역대학 채팅방 사칭)...호남 비하) 극우 성향의 인터넷 사이트인 일베 회원들이 또 말썽입니다. 이번에는 SNS에 광주의 한 대학을 사칭해 채팅방을 만든 뒤 호남을 비하하는 내용 등을 무차별적으로 올렸습니다. 3.(수완지구 초등학교) 올해도 '콩나물 교실')
    2017-03-01
  • 미디어아트로 놀자..광주에 첫 미디어아트 체험공간
    【 앵커멘트 】 영상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아트가 대표적인 문화콘텐츠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아트를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 광주문화재단에 문을 열었습니다. 임소영 기잡니다. 【 기자 】 (effect) 아시아 전역에서 인기가 높은 아이돌그룹 갓세븐의 콘서틉니다. 실제 공연 현장에서 직접 보는 것 같지만, 홀로그램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입체영상입니다. 서울을 제외한 지역 최초 홀로그램 전용관에서는 2PM, 원더걸스 등의 K팝 콘
    2017-03-01
  • 광주지역 196개 예술단체*예술인에 23억 원 지원
    광주지역 196개 예술단체와 예술인에게 올 한해 23억 원이 지원됩니다. 광주문화재단은 공모를 통해 북구청소년수련관과 빛고을시민문화관 등 공립 공연장 4곳에 4억 원, 대안공간과 갤러리 등이 운영하는 7개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3억 7천여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미술과 문학, 음악, 전통예술 등 각 장르의 지역 예술인 163명의 창작작업을 지원하고 시민들의 문화향유권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2017-03-0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