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날짜선택
  • 트럼프 관세 우려..金 선물 종가 처음으로 3천 달러 넘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 우려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면서 금 선물에 이어 14일(현지시간) 금 현물 가격도 온스당 3천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기준 이날 오전 6시께 온스당 3,004.86달러에 고점 거래돼 현물 기준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천 달러 선을 넘어섰습니다. 이후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14일 오후 3시 30시께 상승 폭을 반납하고 전장 대비 0.15% 하락한 온스당 2,983.27달러에 거래됐습니다. 금 선물 가격도 이날 사상 처음으로 온
    2025-03-15
  • 美에 맞불 관세 예고 캐나다, 신임 총리 14일 취임
    마크 카니 캐나다 자유당 대표가 오는 14일(현지시간) 캐나다의 제24대 총리로 취임합니다. 카니 차기 총리는 지난 1월 사임 의사를 밝힌 쥐스탱 트뤼도 총리의 뒤를 이어 자유당 대표로 선출됐습니다. 캐나다와 미국 간 관세 등을 둘러싼 갈등이 커진 시기 신임 총리로 취임하는 카니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의 주권을 존중한다면 만날 의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AP통신에 따르면 카니 대표는 12일 온타리오주 해밀턴의 한 철강 공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캐나다의 주권을 존중한다면 적절한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과 만날
    2025-03-13
  • 트럼프 "4월 2일 전까지는 관세 유연성 유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상호관세를 발표 전까지 관세 부과와 관련해 유연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와의 회담에서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에 "일관성이 없는 게 아니라 유연성"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미국 자동차 업계의 요청을 받아들여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자동차 분야 관세를 1개월 유예한 사실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앞으로도 유연성을 발휘하냐는 질문에 "난 항상 유연성을 유지할 것이다. 하지만 우
    2025-03-13
  • 트럼프, 철강관세 강행..글로벌 무역전쟁 격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철강, 알루미늄에 예외 없는 고율관세를 집행하며 글로벌 무역전쟁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습니다. 한국도 다른 모든 나라와 함께 관세부과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미국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이 같은 일방적 조치에 주요국들이 보복에 나서면서 통상마찰 격화가 예고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포고문에 따라 수입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과 파생 제품에 미국 동부시간 기준 12일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12일 오후 1시1분)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
    2025-03-12
  • 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 관세.."캐나다에 50%"라더니 다시 철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종잡을 수 없는 오락가락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캐나다산 철강 등에 추가로 부과하기로 한 관세 25%에 대해 5시간 만에 철회 입장을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캐나다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징벌적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캐나다가 미국에 수출하는 전기료 할증 부과를 잠정 중단하자 5시간 만에 이를 철회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를 통해 12일부터 전 세계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에 더해 캐나다산에만 25% 관
    2025-03-12
  • "스타벅스 NO!·코카콜라 NO!"..세계는 지금 '美산 불매운동'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외교정책에 저항하기 위해 캐나다와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일고 있습니다. 9일(현지시간) BBC 등 외신은 캐나다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이 격화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주 정부와 기업들은 미국산 제품 판매를 중단하거나 미국 기업과의 계약을 취소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캐나다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온타리오주의 더그 포드 주지사는 지난 4일 모든 주류 매장에서 미국산 주류를 철거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퀘벡주, 매니토바주,
    2025-03-10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부과 한 달 유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부과한 25% 관세 중 상당 부분을 약 1개월간 유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각 6일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제품 중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내달 2일까지 '25% 관세'를 면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전날 멕시코, 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해 1개월 관세 면제를 결정한 데 이어 면제 적용 대상을 획기적으로 확대한 겁니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이 1개월간의 유예를 거쳐 지난 4일부터
    2025-03-07
  • 美백악관 "멕시코·캐나다산 수입車 관세 한 달 면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멕시코, 캐나다를 상대로 부과된 25% 관세에서 자동차에 한해 1개월간 적용을 면제한다고 5일 발표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빅3' 자동차 업체와 대화했다"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레빗 대변인은 "USMCA와 연관된 업계의 요청에 따라, 대통령은 그들이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관세 적용을 한 달 면제하는
    2025-03-06
  • 트럼프 "韓 관세, 美보다 4배 높아..4월 2일 상호 관세 도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관세가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것보다 4배 높아 불공정하다고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진행된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다른 나라들은 수십 년간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해 왔고, 이제는 우리가 그들에게 관세를 사용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셀 수 없이 많은 국가가 우리가 그들에 부과한 것보다 훨씬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 매우 불공정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유럽연합, 중국, 브라질, 인도, 멕시코, 캐나다, 그
    2025-03-05
  • 美 유통업체 "'관세전쟁' 탓에 조만간 상품 가격 인상 불가피"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 영향으로 며칠 내 상품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고 경고했습니다. 4일 미 대형 소매업체 타깃은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보도자료를 통해 지속되는 소비자 불확실성과 2월 순 매출의 소폭 감소, 관세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1분기 중 수익 압박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관세' 여파로 조만간 상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습니다. 브라이언 코넬 타깃 최고경영자(CEO)는 CNBC 방송 인터뷰에서도 타깃이 겨울철 멕시코산 농산물에 크게
    2025-03-05
  • 캐나다·멕시코, 美에 보복관세 '맞불'.."트럼프 결정 정당성 없어"
    캐나다와 멕시코가 자국에 대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25% 관세 부과를 비판하며,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놨습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4일(현지시각) 이날 오타와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00억 캐나다달러(약 30조 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맞불 보복 관세를 즉각 발효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세계무역기구(WTO) 분쟁 해결 메커니즘에 제소하고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 체제를 통해서도 이의제기를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미국의 관세 부과가 지속된다면 21일 후 추가로
    2025-03-05
  • 中, 10일부터 美 농산품에 10~15% 보복관세..트럼프 관세 맞불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10+10% 관세 인상'에 맞서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농축산물을 대상으로 10∼15%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미국 기업에 전략 물품 수출 통제 제재를 가하는 동시다발 대응에 나섰습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4일 공고를 통해 미국산 닭고기·밀·옥수수·면화에 대한 관세를 15% 인상하고, 수수·대두·돼지고기·쇠고기·수산물·과일·채소·유제품에 대한 관세는
    2025-03-04
  • 캐나다, 155조 규모 美 상품에 25% '맞불' 관세
    캐나다가 미국의 25% 관세에 대응해 총 1,550억 캐나다 달러(155조 원) 규모의 미국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물리기로 했습니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성명을 통해 미국의 관세가 발효되는 4일부터 캐나다도 300억 캐나다 달러(30조 원) 규모의 미국 수입품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21일 이내에 1,250억 캐나다 달러(125조 원) 규모의 미국 수입품에 보복 관세가 추가로 적용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뤼도 총리는 "우리의 관세는 미국의 무역 조
    2025-03-04
  • '트럼프 관세 강행 발표'에 美 증시 급락..나스닥 2.6%↓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 강항 발표 이후 3일 (현지시간) 급락했습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49.67포인트(-1.48%) 내린 4만3,191.24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04.78포인트(-1.76%) 내린 5,849.72에 끝났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97.09포인트(-2.64%) 내린 1만8,350.19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2025-03-04
  • 트럼프 "4일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부과" 재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예정대로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3일 밝혔습니다. 그동안 자유무역협정(USMCA)에 따라 대부분 물품에 대해 무관세로 무역이 이뤄졌던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북미 3국 간 관세전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대만의 파운드리업체 TSMC의 대미(對美) 반도체 생산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가 4일부터 시행된다고 거듭 확인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
    2025-03-04
  • 자동차 '관세 폭탄' 앞당긴 트럼프..광주 경제 '비상'
    【 앵커멘트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예고보다 자동차 관세 발표 시점을 앞당기겠다고 예고했습니다. 광주 대미 수출 1위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 폭탄이 빨라지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광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우리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해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생산된 차량은 모두 51만 4천여 대. 이 중 65%인 33만 3천여 대가 수출 차량이었고, 전체 수출 차량의 50% 이상이 미국 시장으로 수출됐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이 현실화될 경우 대미 자동차 수출이 18.6%가량 줄어
    2025-03-03
  • 트럼프 목재 수입품 관세 부과 수순..한국산 싱크대도 포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목재 수입품이 미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것을 지시하면서 관세 부과 수순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원목이나 목재 수입품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수출한 목재를 재료로 만들어 다시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산 싱크대와 같은 제품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상무부에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원목, 목재 등의 수입에 따른 국가안보 영향을 조사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서에 서명했다고 백악관 측이 밝혔습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
    2025-03-02
  • 트럼프 'EU 車' 등에 25% 관세 부과 곧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 유럽연합(EU)을 미국이 가진 것을 "뜯어 먹으려고" 태동한 조직이라고 폄훼하면서 자동차를 포함한 유럽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집권 2기 첫 각료회의를 개최하면서 EU에 대해 부과할 관세율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우리는 결정을 내렸다"며 "우리는 그것을 매우 빨리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관세부과는 일반적으로 말해 25%가 될 것"이라며 "자동차와 모든 것들에 부과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현
    2025-02-27
  • 트럼프 2기 관세 폭탄에 전남 산업계 비상..민관협의체 구성해 대응
    【 앵커멘트 】 미국이 국내 주요 수출품목에 잇따라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전남 주요 수출 기업들에게 비상이 걸렸습니다. 중국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전남으로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인데, 지역 경제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 1월 전남의 대미 수출액은 3억 3백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1% 감소했습니다. 특히 전남의 주요 산업인 석유와 화학 제품이 각각 28%, 철강제품은 24%가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1월의 수출 실적이 좋았던 반작용이 있다는 점을
    2025-02-21
  • 트럼프 "엄청난 돈이 관세로..소득세 필요 없게 될지도 모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할 관세 수입을 활용해 미국의 소득세를 대체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공화당 주지사협회 행사에서 "엄청난 돈이 관세를 통해 들어올 것"이라며 "소득세 시스템이 필요 없게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한 나라에서 연간 최소 600억 달러(약 86조 원)의 관세를 거둬들일 수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게 옛날에 벌어졌던 일"이라며 189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반 관세로 미국이 가장 부유했다
    2025-02-21
1 2 3 4 5 6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