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연구원

날짜선택
  • 전남도 산림재해 강한 전남형 미래수종 육성한다
    전라남도가 기후변화에 대응해 산불과 소나무재선충에 강하고 꿀벌의 서식처가 되는 밀원자원 중심의 조림수종을 집중 육성합니다. 전남도는 지난 2014년 편백, 상수리, 백합, 황칠, 비자, 소나무 등을 전략수종으로 선정해 올해까지 모두 3만 1천ha 규모의 조림사업을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환경 변화와 조림 수종 다변화를 요구하는 산주 수요에 따라, 경제성과 생태계 보전 가치가 높은 수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 됐습니다. 이에 따라 전남도산림연구원은 최근 미래 수종 발굴 간담회를 통해 전남지역에 적합하
    2025-07-21
  • "날개가 투명" 유리나방 신종 발견.."농작물·가로수 피해 우려"
    전남산림연구원이 국내 농작물과 조경수·가로수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인 유리나방 신종을 발견해 최근 학술지(Journal of Species Research)에 공식 보고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발견된 신종은 채집지인 전남도와 성충의 우아한 형태를 반영해 '남도멋쟁이유리나방'으로 명명됐습니다. 유리나방은 성충의 날개에 비늘이 거의 없어 유리처럼 투명하게 보입니다. 외부 형태와 독특한 비행 자세 때문에 벌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보고된 신종은 복부의 등과 배의 띠 색이 주황색과 노란색으로 서로 달라 국
    2025-07-15
  • 전남산림연, 배롱나무 맵시혹나방 방제 기술 개발에 전력
    전라남도산림연구원이 맵시혹나방의 생활사 연구를 통한 방제 기술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맵시혹나방 유충(애벌레)은 15mm 크기로 7월부터 9월까지 배롱나무의 잎과 꽃봉오리를 갉아 먹습니다. 애벌레는 배롱나무의 잎 갈변을 일으키고, 꽃이 피어야 할 시기에 꽃을 피우지 못하게 하는 피해를 입힙니다. 이같은 피해는 전남에서는 지난 2022년 신안 지역 가로수에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에는 18개 시군 97ha에 피해가 확산됐습니다. 특히 가로수나 공원 등 생활권의 배롱나무 피해가 큽니다. 이처럼
    2024-07-22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