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년간 자살로 생을 마감한 65세 이상 노인이 1만 8,000명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인들은 젊은 층에 비해 자살 전에 정신의학과 등에서 도움을 받는 비율이 낮고 단 몇 번의 시도만으로도 자살에 이르는 경우가 많아 고위험 노인을 조기에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박사는 최근 대한의사협회지에 게재한 글 '노인 자살의 이해와 예방'에서 "노인 자살은 젊은 연령대의 자살과는 구분된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고의적 자해(자살)로 숨진 65세 이상 인구는 1만 8,044명이었습니다.
해마다 3,000여 명이 자살한 것인데, 2023년 자살한 노인 수(3,838명)를 365일로 나눠 산술평균을 내면 하루 10.5명에 이릅니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 사망률은 2023년 65세 이상에서 40.6명이었다.
2019년(46.6명)에 비하면 다소 낮아졌지만 2023년 15∼64세(28.0명) 사망률과 비교하면 45% 높은 수준입니다.
오 박사는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에 비해 자살률이 월등히 높다"며 "노인 자살에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 질환뿐만 아니라 만성 신체질환, 통증,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고립, 대인관계에서의 갈등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노년기 우울증은 슬픔·우울감과 같은 전형적인 증상보다는 무(無)쾌감증·무기력함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이나 치료 접근성 부족 때문에 도움을 청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노인들의 경우 신체적 질병 때문에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이 젊은 층보다 높은데, 진단받은 지 얼마 안 된 시기일수록 자살 위험이 높았습니다.
상호 작용의 결여, 고립, 외로움 등도 중요한 자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우자를 비롯한 중요한 관계의 상실, 인간관계에서의 갈등, 어딘가에 소속되려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 느끼는 좌절감, 자신이 짐스러운 존재라는 인식 등도 위험 요인이라고 오 박사는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노인들은 농약, 목맴 등 치명적인 수단으로 자살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고 회복하는 경우도 비교적 드물었습니다.
오 박사는 "노년기에는 자살 시도 대비 자살률이 현저히 높고 자살 이전에 정신보건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도 낮아 조기 개입의 기회를 놓치기 쉽다"면서 "자살 고위험 노인을 조기에 선별하고 적절한 개입으로 연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언어적·정서적·행동적 징후를 조기에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는 민감한 게이트키퍼의 역할이 의료 전반에 요구된다"며 "자살 예방은 다양한 의료진과 지역사회 전체가 협력해 다층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실천할 때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