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날짜선택
  • "SKT 먹통 뒤 5,000만 원 빠져나갔다"..경찰 수사
    자신도 모르는 사이 알뜰폰이 개통되며 5,000만 원이 빠져나갔다는 SKT 이용자의 신고가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28일 부산 남부경찰서는 지난 22일 부산에 사는 60대 남성 A씨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신고를 접수받고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경찰 등에 따르면 SKT 이용자인 A씨의 휴대폰은 지난 22일 돌연 해지됐습니다. 휴대폰이 먹통이 되자 대리점을 찾은 A씨는 자신 명의로 KT 알뜰폰이 개통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또 이날 A씨 계좌에서는 다섯 차례에 걸쳐 1,000만 원씩 모두 5,000만 원이
    2025-04-28
  • '유심 정보 탈취' SKT 가입자 집단행동 움직임..국회 청원·홈페이지 등장
    SK텔레콤이 해킹 공격을 당해 가입자의 유심(USIM) 정보가 탈취된 가운데 이용자들이 국회 국민동의 청원에 나서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28일 정보통신 IT 업계에 따르면 해킹 사건 이후 'SKT 유심 해킹 공동대응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됐습니다. 운영진들은 언론사에 보낸 메일을 통해 "유출된 정보는 휴대전화 번호 인증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금융, SNS 등에서 중대한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SK텔레콤의 대응은 매우 미흡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명확한 피해 범위나 규모도 제대로 밝혀지지
    2025-04-28
  • '유심 정보 해킹' SKT 가입자 몰리며 PASS 앱 먹통
    해킹 공격으로 유심 정보가 일부 탈취된 SK텔레콤이 유심 무상 교체를 시행하기로 한 가운데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SK텔레콤 가입자들이 몰리면서 본인인증 애플리케이션(앱) 패스(PASS) 접속 지연이 발생했습니다. 27일 오전부터 오후 4시를 넘은 시각까지 SK텔레콤 가입자가 PASS 앱에 접속하면 서비스 지연 안내 공지가 나오고 있습니다. PASS는 공지를 통해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의 이용량 급증으로 서비스 제공이 일시 중단되거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점을 양해 부탁한다"며 "현재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
    2025-04-27
  • SKT, 28일부터 전 고객 대상 '유심 무료 교체' 결정
    해킹 사고가 발생한 SK텔레콤이 2,300만 명에 달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을 무상 교체해주기로 했습니다. 25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CEO)는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사옥에서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유 대표이사는 "SK텔레콤을 믿고 이용해 주신 고객 여러분과 사회에 큰 불편과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SK텔레콤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원하는 경우 유심카드를 무료로 교체하는 추가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K텔레콤은 지난 18일 밤 11시
    2025-04-25
  • SKT 이용자들 "유심 교체 비용 지원해야".."피해 규모 파악부터"
    해킹 사고가 발생한 SK텔레콤의 이용자들이 유심(USIM) 정보 유출을 우려해 유심 교체에 나서면서 SK텔레콤이 무상 교체를 결정할지 관심이 쏠립니다. 24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SK텔레콤이 가입 권고한 '유심보호 서비스'만으로 안심하지 못한다며, 유심을 아예 교체했다는 게시글이 다수 올라왔습니다. 지난 22일 SK텔레콤은 해커에 의한 악성 코드로 이용자 유심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T월드에서 무료로 가입할 수 있는 유심보호 서비스에 가입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그러나
    2025-04-25
  • '외국인용 안전디딤돌 앱’만 깔면 대한민국 어디든 안전해요
    한국을 찾은 외래 관광객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관광할 수 있도록 ‘안전한 대한민국 여행 정보’를 제공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재)한국방문의해위원회, 에스케이(SK)텔레콤, 지에스(GS)리테일과 함께 ‘2023~2024 한국방문의해’를 맞이해 안전여행 관련 정보무늬 QR을 담은 홍보물을 전국 주요 지에스(GS)25 편의점과 에스케이(SK)텔레콤 로밍부스를 통해 확산한다고 밝혔습니다. 안전여행 홍보물에 있는 정보무늬 QR을 스캔하면 △1330 관광 통역안내, △위급상황 발생 시 긴급 전화번
    2023-09-14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