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날짜선택
  • 전남대 의과대학 시신기증자 합동 추모식
    의학교육과 연구를 위해 시신을 기증한 고인들의 넋을 행사가 전남대 의과대학에서 열렸습니다. 오늘 추모식에서는 전남대 의대와 의전원, 치의전원 학생과 교직원들이 기증인 가족들과 함께 올해 해부학 실습을 위해 시신을 기증한 54명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전남대 의과대학은 화순의 전남대 의생명과학융합센터에 새로 마련한 추모관에 기증인 54명을 봉안해 숭고한 뜻을 기리기로 했습니다.
    2016-08-31
  • 전남대 의과대학 시신기증자 합동 추모식..추모관 봉안
    의학교육을 위한 시신을 기증한 이들을 추모하는 행사가 전남대 의과대학에서 열렸습니다. 오늘 추모식에서는 전남대 의대와 의전원, 치의전원 학생과 교직원들이 기증인 가족들과 함께 올해 해부학 실습을 위해 시신을 기증한 54명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전남대 의과대학은 화순의 전남대 의생명과학융합센터에 새로 마련한 추모관에 기증인 54명을 봉안해 숭고한 뜻을 기리기로 했습니다. kbc 광주방송 임소영 기자
    2016-08-31
  • 0830(화) 주요뉴스 타이틀
    1.(광주1조7,600억*전남5조 4000억)...80%반영)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건의한 예산의 80%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됐습니다.하지만 최대 현안인 자동차 100만 대 생산기지 건설과 무안공항 활성화 예산이 누락돼 비상이 걸렸습니다 2.('빚' 때문에 아내 살해 (가족공동체 '위기') 50대 가장이 아내를 잔혹하게 살해한 동기는 숨겨 논 ‘빚’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돈 문제로 가족 간의 범죄가 잇따르면서 가족 공동체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습니다. 3.(영산강 상류 하천에 물고기 ('또 떼죽
    2016-08-30
  • 광주비엔날레 시민참여프로그램 개막
    2016 광주비엔날레의 시민참여프로그램인 '나도 아티스트'가 충장로미디어산업센터에서 개막됐습니다. 이번 비엔날레 시민참여프로그램은 역대 최다 인원인 시민작가 4백여 명이 참여해 아시아문화전당과 양림동, 용봉중앙어린이공원 등 광주시내 전역에 작품이 설치됐습니다. 를 주제로 한 2016광주비엔날레는 시민프로그램 개막에 이어 모레 프레스 오픈과 개막식을 갖고 11월 6일까지 66일 동안 계속됩니다.
    2016-08-30
  • 광주비엔날레 시민참여프로그램 개막
    2016 광주비엔날레의 시민참여프로그램인 '나도 아티스트'가 충장로미디어산업센터에서 개막됐습니다. 이번 비엔날레 시민참여프로그램은 역대 최다 인원인 시민작가 4백여 명이 참여해 아시아문화전당과 양림동, 용봉중앙어린이공원 등 광주시내 전역에 작품이 설치됐습니다. 를 주제로 한 2016광주비엔날레는 시민프로그램 개막에 이어 모레 프레스 오픈과 개막식을 갖고 11월 6일까지 66일 동안 계속됩니다. kbc 광주방송 임소영 기자
    2016-08-30
  • 한국*대만현대미술전..11월 13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와 대만의 현대미술 작품을 한데 선보이는 전시회가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시작됐습니다. 광주시립미술관과 타이페이시립미술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전시회에는 광주작가 4명 등 8명의 한국 작가와 9명의 대만 작가들이 참여해 영상과 설치, 회화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하계 U대회 개최지인 광주와 차기U대회 개최지인 대만의 문화교류로 마련된 이번 전시회는 오는 11월 13일까지 계속되고 내년 대만 U대회 기간 중에는 대만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2016-08-30
  • 한국*대만현대미술전..11월 13일까지
    광주와 대만의 현대미술 작품을 한데 선보이는 전시회가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시작됐습니다. 광주시립미술관과 타이페이시립미술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전시회에는 광주작가 4명 등 8명의 한국 작가와 9명의 대만 작가들이 참여해 영상과 설치,회화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하계u대회 개최지인 광주와 차기u대회 개최지인 대만의 문화교류로 마련된 이번 전시회는 광주비엔날레 기간인 오는 11월 13일까지 계속됩니다. 또 내년에 열리는 대만 u대회 기간 중에는 대만시립미술관에서 전시회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내일 열리는 전
    2016-08-30
  • 광주서 106주년 경술국치일 상기 행사 열려
    광주 광덕고에서 106주년 경술국치일을 되새기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광복회 광주전남본부는 오늘이 식민지 시대의 시작이 된 경술국치조약이 맺어진 날임을 잊지 말자는 뜻에서 장휘국 교육감의 '의향 광주학생 경술국치 바로알기' 특강을 시작으로 추념식, '일본 아베정권 규탄 선언문' 발표, 추념 백일장 대회 등을 열고 106주년 경술국치일을 되새겼습니다.
    2016-08-29
  • 한-남아시아 문화장관회의 다음달 1일 광주서 개최
    한-남아시아 문화장관회의 다음달 1일 광주서 개최 한국과 남아시아 8개국 문화장관회이 참여하는 문화장관회의가 다음달 1일 광주에 있는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립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8개국 장관과 차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합니다. 회의안건은 지난 2014년에 개최된 제1회 회의에서 합의한 내용을 구체화한 공동선언문을 만드는 것입니다. 공동선언문에는 한-남아시아 문화제 개최,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협력, 창작자
    2016-08-29
  • '명절 떡값' 해임 교장, 3년만 교단 복귀 '논란'
    교직원들로부터 이른바 '명절 떡값'을 받아 해임된 교장이 3년 만에 복직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22일 발표한 9월 1일자 전문직 교원 인사에서 산하기관 연구사를 서구의 한 초등학교 교감으로 발령냈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사가 지난 2013년 설 명절을 앞두고 교장으로 있던 초등학교의 교사 등 15명으로부터 170만 원 상당의 금품을 받아챙겨 해임 처분을 받았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교조 서부초등지회와 일부 학부모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16-08-28
  • [더불어] 광주가 예술 축제의 장으로
    【 앵커멘트 】 문화수도 광주가 예술 축제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광주 최대 미술시장인 2016 아트페어는 단순한 미술품 거래를 뛰어넘어 광주를 전 세계에 알리는 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강동일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미국 팝 아트 선구자인 '앤디 워홀'의 작품과 꿈을 그린 화가인 스페인 '호안 미르'의 작품. 세계적인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자리가 문화의 전당에 마련됐습니다. ▶ 인터뷰 : 이반야 / 광주시 동명동 - "광주 밖의 다른 지역이나
    2016-08-27
  • '섬마을 미디어페스티벌'..미디어센터, 완도 소안도 영상교육 캠프
    미디어 문화 소외지역인 섬마을에서 미디어교육 캠프가 진행됐습니다. 완도 소안도의 소안중학교에서 어제부터 1박 2일간 열린 미디어페스티벌에는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들과 소안중 학생 26명이 참가해 일대일 교육을 통해 다큐멘터리와 뉴스, 드라마 5편을 제작했습니다.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섬마을 미디어 페스티벌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의 섬마을 미디어페스티벌은 지난 2010년 여수 금오도를 시작으로 2011년 여수 연도와 안도 금오도, 2014년 완도 청산도 청산중학교에 이어 올해는 완도 소안도에서 열렸습니다. kbc
    2016-08-26
  • 완도 소안도에서 섬마을 미디어페스티벌
    미디어 문화 소외지역인 섬마을에서 미디어교육 캠프가 진행됐습니다 완도 소안도의 소안중학교에서 어제부터 1박 2일간 열린 미디어페스티벌에는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들과 소안중 학생 26명이 참가해 일대일 교육을 통해 다큐멘터리와 뉴스, 드라마 5편을 제작했습니다.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의 섬마을 미디어페스티벌은 지난 2010년 여수 금오도를 시작으로 완도 청산도, 올해 완도 소안도에서 열렸습니다.
    2016-08-26
  • 전남대 후기졸업식 학·석·박사 1,899명 배출
    전남대학교 2015학년도 후기학위수여식이 오늘 전남대 민주마루에서 열렸습니다. 졸업생과 가족, 교직원 및 재학생, 동문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후기졸업식에서는 학사 1,360명, 석사 403명, 박사 130명, 명예박사 1명, 명예학사 5명 등 모두 1,899명의 졸업생에게 학위가 수여됐습니다. 오늘 졸업식에서는 정인채 새천년종합건설 회장이 명예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80년대 민주화운동에 투신했다가 졸업시기를 놓친 임동성(경영대), 故 양일승(공과대), 정준(공과대), 최은기(사범대), 윤영민(사회대)
    2016-08-26
  • 전교조 "학교 급식 비리 전수 조사하라" 촉구
    광주시교육청의 학교급식 비리 적발과 관련해 전교조가 지역 내 전체 학교로 조사를 확대할 것으로 요구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광주지부는 일부 학교에서 위반 사례가 드러난 만큼 조사 범위를 광주 전체 학교로 확대해 이번 기회에 급식 관련 비리를 뿌리뽑을 것을 촉구했습니다. 앞서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4월부터 지역의 20개 학교 급식에 대한 감사를 벌여 79건의 비리를 적발했는데 학교 급식 예산을 부당하게 집행하고 규정을 지키지 않은 학교 교직원과 영양사가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교육청은 영양사 3명을 해고하고 1명은 정
    2016-08-26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