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중고 신입' 선호 현상 강화..."평균 경력 1~2년 가장 많아"

작성 : 2025-09-21 07:34:28
▲취업박람회 찾은 구직자들 [연합뉴스] 

국내 대기업의 이른바 '중고 신입' 선호 현상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121개 사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하반기 주요 대기업 대졸 신규채용 계획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신입직원 28.1%는 이미 경력이 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작년 조사에서 집계된 중고 신입 비중(25.8%)보다 2.3%포인트(p) 오른 수준입니다.

중고 신입의 평균 경력 기간은 '1∼2년'(46.5%)이 가장 많았고, '6개월∼1년'(38.6%), '2∼3년'(7.9%), '3년 이상'(5.3%), '6개월 미만'(1.7%) 순이었습니다.

다만 기업 매출액 순위가 낮을수록 '2∼3년' 경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100대 기업'과 '101∼200대 기업'에서는 '2∼3년' 응답이 0%인 데 반해 '300∼500대 기업'에서는 12.2%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에서 경력직 채용 비율은 평균 26.9%로 조사됐습니다.

경력직 채용 비중은 '50% 이상'(15.7%), '20∼30%'(14.1%), '0∼10%'(13.2%), '40∼50%'(12.4%) 등 순으로 컸습니다.

경력직 채용 계획이 없는 기업은 22.3%였습니다.

재계 관계자는 "경영 여건이 어렵다 보니까 기업이 채용을 보수적으로 실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예전처럼 회사가 신입사원을 뽑아 트레이닝하는 것이 아니라 직무 능력을 갖춘 사람을 뽑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자리를 찾아서 [연합뉴스] 

올해 하반기 수시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 비중은 48.8%로 집계됐습니다.

수시채용은 공개채용과 달리 기간을 정하지 않고 수요가 생겼을 때 채용하는 방식으로 경력자들에게 좀 더 유리하다고 평가받습니다.

다만 1∼100대 기업에서는 '수시채용 계획 있음' 비중이 30.0%로 전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습니다.

삼성이 국내 주요 대기업 중 유일하게 공채 제도를 유지하는 상황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수시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59개 사)을 대상으로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수시채용이 79.5%, 공개채용이 20.5%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대기업 대졸 신입직원의 평균 연봉은 4,671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4,000만∼4,500만 원'이 26.5%였고 '5,000만∼5,500만 원' 23.1%, '4,500만∼5,000만 원' 19.0%였습니다.

기업 순위별로 1∼100대 기업은 5,250만 원, 101∼200대 기업은 5,000만 원, 300대 이상 기업은 4,305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반기 채용시장의 변화로는 '수시채용 증가'(22.0%)가 가장 많이 꼽혔고 '경력직 채용 확대'(19.5%)가 뒤를 이었습니다.

'중고신입 선호 현상 심화'와 '조직문화 적합성 검증 강화'가 나란히 16.2%였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