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관람한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와 관련해 "음모론을 부추기고 있어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선관위는 22일 입장문을 통해 "영화에서 다루는 의혹 대부분은 이미 위원회에서 설명하거나 법원의 판결로 해소된 사항"이라며 "부정적이고 자극적 영상으로 부정선거 음모론을 부추기고 있어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명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해당 영화에 대해선 "유튜브 등에서 제기됐던 의혹 등을 명확한 근거 없이 주장하며 '부정선거 폭로의 결정판', '이번 대통령선거도 부정선거를 확신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투·개표는 '실물 투표'와 '공개 수작업 개표' 방식으로 진행되며, 정보시스템과 기계 장치 등은 이를 보조하는 수단에 불과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모든 선거 과정에는 정당·후보자의 참관인 또는 정당 추천 선관위원이 참여하고 있고, 공정성과 보안성을 확보하는 제도적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며 "그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으므로 부정이 개입될 소지는 전혀 없다"고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선관위는 이어 "부정선거 관련 의혹에 신속히 대응해 왜곡된 정보의 확산을 차단하고 투·개표 등 선거 절차의 모든 과정을 있는 그대로 공개하기 위해 부정선거 의혹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다"며 "선거 불신을 해소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국민에게 제21대 대선 투·개표 절차의 모든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 학회 주도로 구성된 공정선거참관단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끝으로 "영화, 유튜브 등을 통해 선거에 대한 감정적이고 자극적인 주장이나 정보를 접할 경우 선관위가 배포하는 설명 자료와 공신력 있는 언론에서 보도하는 사실확인 기사를 함께 참고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앞서 전날 윤 전 대통령은 서울 동대문구의 한 영화관에서 부정선거론을 다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를 제작자 전한길 씨 등과 함께 관람했습니다.
영화 관람 도중 윤 전 대통령은 잠시 조는 모습도 보였으며, 자신의 12·3 비상계엄 선포 장면에서는 환하게 웃으며 박수를 치기도 했습니다.
지난달 4일 헌법재판소로부터 전원 일치로 파면 선고를 받은 윤 전 대통령은 현재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형사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