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항공사 중 제주항공과 티웨이 일부 기종의 이코노미석 면적이 가장 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광주북구갑)이 23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항공사 이코노미 좌석 현황' 전수조사 자료에 따르면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의 B737-800 기종 이코노미석이 가장 좁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항공 B737-800 기종의 좌석 안장폭은 최소 41.4㎝, 고객 1인당 면적은 0.305㎡에 불과했습니다.
같은 기종의 티웨이항공도 안장폭이 최소 43㎝, 1인당 면적이 0.314㎡로 조사돼 두 항공사가 6개사 가운데 가장 협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진에어는 동일 기종에서 안장폭 43.2㎝, 1인당 면적 0.324㎡로 다소 여유가 있었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는 상대적으로 넓은 좌석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특히 대한항공 737-800은 안장폭 44㎝, 좌석간격 84~86㎝로 고객 1인당 면적이 0.37~0.38㎡에 달해 저비용항공사와 차이를 보였습니다.
에어부산 A320-200의 경우 안장폭은 45.36㎝로 넓었으나 좌석간격이 71.1~73.7㎝로 짧아 1인당 면적은 0.32~0.33㎡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또한 통로 간격이 가장 좁은 항공사는 티웨이(B737-800 42.9㎝)로 나타났으며, 이 역시 승객 불편 요인으로 지적됐습니다.
정준호 의원은 "항공 좌석은 영업 전략과 시장 논리에 따라 운영되지만, 항공이 대중적 교통수단이 된 만큼 고객의 편의성도 중요한 고려 기준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어 "국토부는 항공사와 협의해 승객의 복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행정지도를 강화해야 한다"며 개선 필요성을 촉구했습니다.
국토부는 현재 좌석 간격이나 폭에 대한 최소 기준은 없으며, 항공기 안전 인증 시 최대 좌석 수만 규정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최근 일부 항공사가 좌석 수를 늘리고 면적을 줄이려는 계획을 추진했으나, 안전성 논란과 국민 반발로 무산된 전례가 있어 좌석 규제 논의가 다시 불붙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