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된 가운데, 쌀과 소고기 시장에 대한 추가 개방이 없었다는 정부 발표에 농민과 시민사회단체들이 안도감을 나타냈습니다.
이들은 다만 협상이 완전히 종료된 것은 아니라며 향후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밝혔습니다.
31일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대사관 옆 농성장에서 ‘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과 ‘농민의길’ 등 농민·시민사회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대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은 회견문을 통해 “정부가 쌀과 쇠고기 시장에 대한 추가 개방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역대 어느 정권도 앞장서 막아내지 않았던 농업 개방 위협을 상당 부분 막아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오는 2주 뒤 예정된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을 언급하며, “그동안 추가 협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하원오 농민의길 상임대표는 “아직 협상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며, 앞으로 어떤 요구가 제기될지 가슴 졸이며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아무리 통상 압력이 거세도 먹고살 수 있는 농정은 지켜줘야 한다는 게 농민들의 주장”이라며 “이제는 식량주권을 실행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김재하 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 공동대표는 “대등한 관계에서 이뤄진 협상은 아니었다. 협박에 가까운, 협상이라 하기 곤란한 과정이었다”며 “우리 국익과 안전,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투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농민·시민단체들은 쌀과 쇠고기 추가 개방이 이뤄지지 않은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협상이 완전히 종료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정부의 향후 대응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