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된 가운데,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가 관세 인하 및 쌀·소고기 추가 개방 차단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밝혔습니다.
두 단체장은 지역 수출산업과 농축산업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며, 향후 대응 방안 마련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31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자동차의 경우 수출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며 “광주 완성차 공장의 차량 생산 및 수출 정상화, 협력 부품업체의 경쟁력 회복,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강 시장은 특히 “당초 예고된 25%보다 낮은 수준에서 관세가 타결된 것은 자동차·가전 등 지역 주력 수출산업의 피해를 일정 부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자국 중심 외교정책을 고수해온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 의미 있는 성과를 끌어낸 정부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광주시의 후속 대응과 관련해 “중소중견기업의 수주 물량 감소와 고용 위축 등의 우려가 현실화하지 않도록, 내수 진작과 인공지능 프리미엄 가전 개발, 수출시장 다변화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중앙정부와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영록 전남지사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관세협상 결과에 대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지사는 “국민적 우려가 매우 컸던 쌀 추가 개방과 30개월령 미국산 소고기 수입 등 농축산물 추가 개방을 막아냈다”며 “이웃 나라보다 협상을 매우 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대미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춰 유럽, 일본 등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며 “우리 경제의 큰 불확실성 중 하나가 해소됐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지사는 또 “1천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전용 펀드는 전남 주력산업 중 하나인 조선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전남도는 이번 협상 내용과 추후 진행 과정을 예의주시하며, 철강 등 지역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광주와 전남 지역 단체장들은 수출산업과 농업 분야에서의 불확실성 완화에 주목하며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두 지자체는 향후 관련 산업의 피해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후속 대응 마련에도 힘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