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배:춧값이 폭락하면서 농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습니다.
해마다 널뛰기를 반:복되는 배춧값을 잡기 위해서는 과:잉 재:배를 막고, 김치공장을 늘리는 등 공:급량 조절이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목포의 한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겨울 배추가 지난해 이맘때의 반토막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엄동설한에 배추를 키운 농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경매사들의 고통도
이루 말할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황진운/목포시농산물도매시장 경매사
"30%이상 떨어져 애로가 크다"
현재 서울에서 거래되는 배추가격은
이상 급등했던 지난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한 해 걸러 널뛰기하고 있습니다.
(c.g.) 2천 8년에 급등했다 다음해 급락했고, 2천 11년에 폭등했다가 올해는 바닥권으로 추락했습니다.
전남도는 가공공장을 지어
배추 수요를 늘리고 공급량을 조절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인터뷰-위삼섭/전남도 원예특작담당
"공급이 많은 탓, 가공으로 돌려"
하지만 올해 해남의 겨울배추 재배 면적은 10%이상 늘었고 가공공장들도 처리 물량에 한계가 있어 어려운 형편입니다.
더구나 작목전환이 더뎌 재배 면적의 조절이 어렵고, 정부의 산지 수매는 시늉만 내고 있어 가격 안정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su// 결국 배추값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량 조절이 관건인데, 현재의 구조상으로는 널뛰기 장세를 잡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8-05 16:42
방탄 헬멧 없어 총기 사건 현장 못 간다던 경찰, 순찰차에 있었다
2025-08-05 14:53
명동 신세계백화점 본점 폭파 협박...경찰특공대 투입
2025-08-05 10:41
공기 주입 중 터진 레미콘 타이어...60대 정비소 업주 숨져
2025-08-05 10:17
'하루에 2명 살인' 혐의로 경찰 추적받던 50대 추락사
2025-08-04 21:40
이별 요구한 여자친구 폭행·방화 시도한 불법체류 외국인 붙잡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