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날짜선택
  • 전남 영농현장, 가뭄 피해 확산
    전남지역의 가뭄 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무안과 강진, 신안 등의 모내기를 마친 논 3백 80㏊에서 물마름과 고사 현상 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남의 모내기는 계획 면적인 15만9천㏊ 가운데 42%가 마무리된 상태로 용수공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생육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전남의 저수율은 61.3%로 전국 평균보다 높지만 강수량은 154mm로 지난해보다 30%를 밑돌고 있습니다.
    2017-05-30
  • 목포 해안가 만조 대비 '차수벽 효과' 거둬
    바닷물 수위가 상승할 때마다 상습 침수 피해를 입었던 목포 해안가가 차수별 설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지난 26일부터 어제까지 해수면 수위가 최고 5m 넘게 상승했지만 바닷물 유입 방지를 위해 해안가를 따라 설치한 차수벽 설치로 상습 침수를 입었던 목포 동명동 사거리 일대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2017-05-30
  • 신안 반월 당숲 '국가 산림문화 자산' 지정
    신안 안좌면 반월도의 당숲이 산림청으로부터 국가 산림문화 자산으로 지정됐습니다. 반월도 당숲은 450여 년전 주민이 섬에 오면서 심은 팽나무와 느릅, 후박 등 난대수종이 섬의 전통 문화와 어우러져 산림 자산으로의 가치를 인정 받았습니다. 전남에는 반월 당숲을 포함해 담양 메타세쿼이아길, 완도 수목원, 고흥 나로도 편백숲 등 모두 7곳이 지정돼 있습니다.
    2017-05-30
  • 다음달 1일 죽산보 상시 개방, 관계기관 대응팀 구성
    죽산보 상시 개방을 앞두고 관계 기관들이 현장 대응팀을 꾸렸습니다. 전라남도와 영산강유역환경청, 농어촌공사 등은 다음달 1일부터 상시 개방되는 죽산보 개방 전후 환경영향 분석과 유량 모니터링, 안전대책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죽산보가 개방되면 관리 수위는 3.5m에서 2.5m로 낮아질 것으로 보이며 보 상시 개방으로 인해 보 주변의 고농도 녹조 발생이 줄고 수질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7-05-30
  • 해남 양배추 이상기온 피해, 농업재해 인정
    해남에서 발생한 양배추 이상기온 피해가 농업재해로 인정돼 농가 보상이 이뤄지게 됐습니다. 농촌진흥청은 해남 화원면 등 147ha 양배추 생산단지에서 수확기를 앞두고 양배추 재배면적의 80%가 이상 기온으로 배추 속에서 꽃줄기가 형성되는 이른바 추대현상으로 피해를 입었다며 대체작물을 심을 수 있도록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2017-05-29
  • 나주 혁신도시에 오는 2020년 개교 목표 중*고교 설립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에 공립 중고등학교가 설립됩니다. 전남교육청은 나주 빛가람혁신도시에 오는 2020년 개교를 목표로 총 예산 524억원을 들여 24학급 규모의 공립 중고등학교를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도의회 교육위원회에서도 혁신도시 학교 신축사업 동의안이 통과되면서 학교 설립 절차가 본격 시작될 예정입니다. kbc 광주방송 이계혁 기자
    2017-05-29
  • 신안, 해남 등 전남 서남해안에 괭생이모자반 확산
    조업이나 양식에 피해를 주는 괭생이모자반이 서남해안으로 유입되고 있어 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라남도는 신안 우이도와 홍도, 해남 송지면 등에서 2천 6백 톤 가량의 괭생이모자반이 관측됨에 따라 국립수산과학원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해 모자반 덩어리들이 제주 해역에서 유입됐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괭생이모자반은 소형 어선 등의 스크루나 그물에 감길 우려가 있어 조업에 방해가 되고 양식장에도 피해를 줍니다. kbc 광주방송 이계혁 기자
    2017-05-29
  • 공약 이행 사업비 31조 원.. 前 정부보다 2-3배 증가
    【 앵커멘트 】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문재인 대통령이 약속한 대선 공약을 확정해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반영을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정부 때에 비해 2-3배 가량 늘어난 규모인데 얼마나 반영될 것인지 관심입니다. 이계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CG 1 광주시가 확정한 3대 핵심 사업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 3조 9백70억 원, 미래형 자동차 부품 사업 1조 3천 6백억 원, 군공항 이전 지원 사업 1조 원입니다. 핵심 사업을 포함해 모두 12개 공
    2017-05-29
  • 나주 혁신도시에 오는 2020년 개교 목표 중*고교 설립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에 공립 중고등학교가 설립됩니다. 전남교육청은 나주 빛가람혁신도시에 오는 2020년 개교를 목표로 총 예산 524억원을 들여 24학급 규모의 공립 중고등학교를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도의회 교육위원회에서도 혁신도시 학교 신축사업 동의안이 통과되면서 학교 설립 절차가 본격 시작될 예정입니다.
    2017-05-29
  • 신안, 해남 등 전남 서남해안에 괭생이모자반 확산
    조업이나 양식에 피해를 주는 괭생이모자반이 서남해안으로 유입되고 있어 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라남도는 신안 우이도와 홍도, 해남 송지면 등에서 2천 6백 톤 가량의 괭생이모자반이 관측됨에 따라 국립수산과학원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해 모자반 덩어리들이 제주 해역에서 유입됐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괭생이모자반은 소형 어선 등의 스크루나 그물에 감길 우려가 있어 조업에 방해가 되고 양식장에도 피해를 줍니다.
    2017-05-29
  • '다산 정신 배운다' 강진 공직자 교육의 산실
    【 앵커멘트 】 다산 정약용의 정신이 깃든 강진이 공직자 청렴 교육의 산실이 되고 있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공직자들이 다산의 정신을 되새기며 올바른 공직의 자세를 배워가고 있습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전국에서 모인 공직자들이 강사의 청렴 강의에 귀를 기울입니다. 청렴하고 올바른 목민관을 강조했던 다산 정약용의 정신을 되새기며 국민을 대하는 공직자의 자세를 다 잡아봅니다. ▶ 인터뷰 : 정국영 / 경북 안동도립도서관 - "오늘 이 교육을
    2017-05-25
  • "한전공대 설립 작업 시작"..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 앵커멘트 】 한전공대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으로 제시돼 기대를 모았는데요.. 이미 빛가람 혁신도시 안에 한전공대 설립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환익 한전 사장은 오늘 총리 인사청문회에서, 4차 산업을 이끌 인재 육성을 위해 한전공대 설립 작업을 시작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이계혁 기잡니다. 【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조환익 사장. 조 사장은 한전공대를 설립하기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신
    2017-05-25
  • 전남개발공사 간부, 부인 통해 소개비 편법 수령 의혹
    전남개발공사가 간부 부인에게 거액의 부동산 매각 소개비를 지급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전남개발공사는 지난해 10월 해남 땅끝호텔을 33억 3천여만 원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간부 장 모 씨의 부인이 운영하는 공인중개사 사무소에 부당하게 소개비 명목으로 계약금액의 0.9%인 3천만 원을 지급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감사에 들어갔습니다. 개발공사는 지난 2013년 감사원 지적에 따라 매각을 성사시킨 직원에게 지급하던 소개비 제도를 중단했는데 매각을 알선한 간부가 본인 대신 부인을 내세워 소개비를 챙긴 것 아니냐는
    2017-05-25
  • 전남개발공사 간부, 부인 통해 소개비 편법 수령 의혹
    전남개발공사가 간부 부인에게 거액의 부동산 매각 소개비를 지급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전남개발공사는 지난해 10월 해남 땅끝호텔을 33억 3천여만 원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간부 장 모 씨의 부인이 운영하는 공인중개사 사무소에 부당하게 소개비 명목으로 계약금액의 0.9%인 3천만 원을 지급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감사에 들어갔습니다. 개발공사는 지난 2013년 감사원 지적에 따라 매각을 성사시킨 직원에게 지급하던 소개비 제도를 중단했는데 매각을 알선한 간부가 본인 대신 부인을 내세워 소개비를
    2017-05-25
  • 전남 노후 수도관 누수율 27%.. 제주 제외 전국 최고
    노후 수도관으로 인한 전남지역 누수율이 2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5년 말 기준, 전남 지역 전체 상수관 만 7천550km 가운데 21.2%인 3,725km가 20년 이상 된 노후 상수관이고 이에 따른 누수율이 27%로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최근 3년 동안 전남지역 노후 수도관 207km를 교체하기 위해 319억 원의 시군비가 투입됐습니다.
    2017-05-24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