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3명 중 1명만 교직 생활 '만족'..여전히 저조"

작성 : 2025-05-14 14:55:28
▲ 자료이미지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가 2년 전 '서이초 사건' 당시보단 개선됐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4일 교사노동조합연맹이 스승의 날을 맞아 지난달 23일부터 5월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8,25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교직 생활에 대한 '만족'(32.7%로)과 '불만족'(32.3%) 응답률이 엇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서울 서이초에서 신규 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 발생한 2023년 설문 조사와 비교하면 만족한다는 답변이 13.2%에서 32.7%로 크게 늘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교직 생활 만족도에 대한 점수도 5점 만점에 2.9점을 주는 데 그쳤습니다.

교사라는 직업이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는 답변율이 64.9%로 '그렇다'(8.9%)보다 현저히 높았습니다.

교사 절반 이상(58.0%)은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했다고 답했습니다.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한 이유(복수 응답 가능)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77.5%)을 1순위로 꼽았습니다.

'낮은 급여'(57.6%), '과도한 업무'(27.2%)가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1년간 교사 56.7%가 학생에게, 56.0%가 보호자에게 교권 침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교사 23.3%가 교권 침해로 정신과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업 방해 학생 분리 제도가 잘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은 13.4%, '민원 응대 시스템이 잘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은 14.0%에 불과했습니다.

'교권 5법'이 통과되는 등 교권 보호를 위한 제도가 마련됐지만, 교사들은 여전히 교육 정책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교사 96.9%는 '교육 정책 전반에 현장 의견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고 답했고, 95.8%는 '교육 정책 간 일관성이 높지 않다'고 봤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8∼12일 전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2,5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현재 근무환경에 만족하는가'라는 질문에 교사 66.8%가 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교사 52.0%는 복무 결재 시 구두 결재를 강요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교사 절반(50.0%)은 정당한 휴가를 씀에도 구체적인 사유를 작성할 것을 요구받았다고 답했습니다.

교사 67.0%는 교육활동보다 행정업무가 우선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47.8%는 교사의 수업권과 평가권이 보장되지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년까지 교직을 유지하겠냐'는 질문에 교사 61.5%가 부정적으로 답했으며, 경제적 이유, 민원 및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불안감, 과도한 행정업무, 교권 하락 등을 그 이유로 언급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