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이후 5·18 역사 부정↑..오월 정신 헌법 수록해야

작성 : 2025-05-14 21:24:23

【 앵커멘트 】
12·3 불법 계엄과 내란을 저지한 이후 5·18의 숭고한 가치는 더욱 빛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5·18 역사 왜곡·폄훼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18 역사 왜곡을 근절하려면 오월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는 것부터 시작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신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민주화의 상징인 금남로에서 내란 수괴 윤석열을 옹호하는 집회가 열렸을 때 시민들의 가슴은 철렁했습니다.

당시 집회에선 극우 유튜버들이 5·18 혐오 발언을 내뱉었고, 극우 매체의 왜곡 인쇄물이 배포됐습니다.

인쇄물 1면 제목은 5·18은 북한이 주도한 내란이었는데, 명백한 허위 사실을 퍼뜨린 겁니다.

이런 5·18 왜곡과 폄훼는 지난해 12·3 내란 이후 급증했습니다.

▶ 인터뷰 : 최경훈 / 5ㆍ18기념재단 기록진실부 팀장
- "12ㆍ3 내란 이후에 서부지법 난동 사건이 있었고 또 2월에 윤석열 탄핵 반대 집회가 광주에서 진행됐습니다. 그때마다 5ㆍ18 왜곡·폄훼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12·3 내란 직후 일주일 동안 커뮤니티 누리집 세 곳에 올라온 5·18 왜곡 게시물은 169건으로 급증했습니다.

극우 세력의 금남로 집회가 열린 올해 2월, 한 달 동안 누리집 22곳에 696건의 왜곡 게시물이 올라왔습니다.

지난해 월평균 144건보다 552건이나 많았습니다.

특히 5·18 왜곡 도서와 현수막을 비롯해 게임과 인공 지능 영역까지 역사 부정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올바른 역사 교육을 하고, 5·18 왜곡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전담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 싱크 : 이재의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공동 저자
- "너무 황당하고 말도 안 되는 것들을 가지고 허위 사실을 유포를 하고 있다는 것이죠.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민주시민 교육을 아주 강화시켜야 한다는 겁니다."

5·18 허위사실 유포 처벌법이 연구와 예술 등의 영역은 처벌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개헌과 함께 처벌 조항 개정도 시급합니다.

▶ 스탠딩 : 신대희
- "그동안 대권 주자들은 원포인트 개헌을 통해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겠다고 약속해왔습니다. 이젠 실행에 옮겨 역사 정의를 바로세울 때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C 신대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