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영 "12·3 내란 당일 국정원, 계엄사 파견·조사팀 구성 검토...철저한 수사 필요"

작성 : 2025-09-08 13:48:40
▲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8일 국회에서 '12.3 계엄 당시 국정원 인력 파견 및 조사팀 구성 검토 확인' 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3 내란 사태 당시 국가정보원이 계엄사령부 인력 파견과 합동조사팀 편성까지 검토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했습니다.

윤 의원은 8일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에서 "2024년 12월 3일 불법 내란 당일 국정원이 '비상계엄 선포 시 OO국 조치 사항'이라는 제목의 문서를 작성해 계엄사 및 합수부 파견 방안을 검토하고, 조사팀 구성과 활동 계획까지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국정원이 그간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일방적 지시를 전달받았을 뿐, 국정원 차원에서 행동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이번 문서로 거짓임이 드러났다"고 지적했습니다.

윤 의원에 따르면 문서에는 국정원 직원 80여 명을 계엄사와 합수부에 파견하고, 전시 중앙합동정보조사팀을 5개 조 30여 명으로 편성해 구체적인 임무를 부여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습니다.

특히 대통령령을 통해 임시 특례법을 제정, 국정원 직원이 수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안까지 검토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윤 의원은 작성 시점에도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문서는 내란 당일 밤 11시부터 작성돼 12월 4일 새벽 1시쯤 최종 저장된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는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직후이자 조태용 당시 국정원장이 가짜 국무회의에 참석한 이후 시점이라는 겁니다.

그는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싹 다 잡아들이라'는 명령을 받은 시각과도 일치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윤 의원은 "국정원은 지휘부 지시가 아니라고 해명하지만, 해당 부서가 내란 당일 130명이나 재출근했다"며 "실제 집행 준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만약 국정원이 대규모 인력을 동원해 계엄사 파견과 합수부 조사팀 편성까지 준비했다면 이는 명백한 계엄 동조 행위"라며 "국정원의 자체 감사뿐 아니라 수사기관의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