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뜨거워지는 여름..2010년 이후 폭염·열대야 급증

작성 : 2025-07-02 14:27:07
▲ 자료이미지 

우리나라 2010년대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가 1970년 대비 각 1.7배, 2.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은 1973∼2024년 연간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를 분석한 결과 모두 증가 추세에 있다고 2일 밝혔습니다.

폭염 및 열대야 일수는 2000년대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폭 상승했습니다.

1970년대 대비 2010년대 폭염일수는 평균 8.3일에서 14.0일로 1.7배, 열대야 일수는 평균 4.2일에서 9.0일로 2.1배 늘었습니다.

2020년대의 경우 각 16.7일, 12.9일로 2010년대보다 더 증가했습니다.

최근 10년(2015∼2024년)을 기준으로 하면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는 각 16.3일, 11.0일로 평년(1991∼2020년)보다 5.3일, 4.4일 많습니다.

여름철 폭염은 주로 북태평양 고기압 영향권에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발생합니다.

강한 햇볕에 의해 낮 동안 기온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밤사이 기온도 크게 떨어지지 않아 열대야 또한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폭염이 많이 발생했던 해는 대체로 열대야도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과거 52년 동안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의 상관계수는 0.84로 매우 높습니다.

폭염과 열대야는 주로 7∼8월에 발생했고, 2010년대 이후 8월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나타냈습니다.

폭염과 열대야가 거의 없던 5∼6월과 9월에도 발생해 이른 더위와 늦더위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여름이 길고 더웠던 2024년, 2018년, 1994년이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에서 모두 1∼3위 내를 기록했습니다.

폭염 1위는 2018년 31.0일이고, 2위는 지난해 30.1일입니다.

열대야 일수는 2024년이 24.5일로, 2위인 1994년 16.8일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1994년을 제외하고 폭염과 열대야 일수 모두에서 최근 10년이 상위 5위 안에 들었습니다.

1912년부터 2024년까지 강릉,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 등 100년 이상의 관측자료를 보유한 6개 지점의 장기 변화 경향을 보면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는 2000년대 들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폭염 일수는 2000년대까지 오르락내리락하다가 2001∼2010년 8.0일을 기록한 후 2011∼2020년 13.3일, 2021∼2024년 16.9일로 대폭 늘었습니다.

열대야 일수도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2001∼2010년 13.6일, 2011∼2020년 19.7일, 2021∼2024년 28일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10년 평균 연간 폭염 일수는 밀양(33.6일), 대구(33.4일), 의성(32.6일) 등 경상도 내륙 중심으로 많았습니다.

열대야 일수는 제주도(제주 45.3일·서귀포 37.6일)가 가장 많았고, 여수(30.0일), 목포(28.2일), 포항(27.7일), 부산(27.2일) 등 남부지방 해안 지역 위주로 많았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