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협상이 결렬되면서 노조가 이날 첫차부터 '준법투쟁'에 돌입했습니다.
준법투쟁은 승객이 교통카드를 찍고 자리에 앉는 등 안전 확보를 확인한 뒤 출발하고, 앞선 차를 추월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새벽 2시쯤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협상 결렬을 선언했습니다.
노사는 전날 오후 5시쯤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회의를 열어 9시간 가량 마라톤 협상을 벌였으나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가장 큰 쟁점은 통상임금 문제입니다.
노조는 지난해 대법원 판례에 따라 상여금 등이 통상임금에 자동 반영돼야 하므로 안건조차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 사측은 법리가 변경됐다면 임금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노조는 이와 함께 △기본급 8.2% 인상 △동일노동 임금차별 폐지 △정년 연장(63세→65세)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노위에서는 임금을 동결하고 상여금과 통상임금 산입 문제를 추후 논의하자는 중재안이 제시됐지만, 노사 양측 모두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협상 불발에 따라 노조는 이날 새벽 4시 첫차부터 준법투쟁에 들어갔습니다.
버스노조가 쟁의행위 방식으로 준법운행을 선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노조 관계자는 "서울시가 평소 운행하라는 매뉴얼대로 운행한다는 것"이라며 "준법운행을 하더라도 큰 불편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쟁의행위 중 양측이 물밑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다면 노조가 총파업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박점곤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위원장은 "준법운행을 하다가 (협상이) 잘 안되면 파업에 들어간다"며 전국시도자 대표자회의를 열어 전국동시다발 파업을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임금 협상이 결렬되자 12년 만에 파업에 나섰다 시의 중재로 11시간 만에 합의점을 찾고 정상 운행한 바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