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관계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는 대상은 '직장 내 동료나 상사'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가 'GS&패널'을 통해 전국 만 19~69살 여성과 남성 1,000명을 대상으로 '인간관계 스트레스 인식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40.5%가 최근 3개월 내 인간관계로 인해 '자주 스트레스를 느꼈다'고 답했습니다.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자주 느끼는 대상으로는 '직장 내 동료 또는 상사'가 41.5%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가족' 19.2%, '이웃·지인 등 생활 관계' 16.8%, '친구' 10.1%, '연인 또는 배우자' 6.6%, '온라인 커뮤니티 및 SNS 관계' 5.7% 등 순이었습니다.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은 '의사소통 부족'이었습니다.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음' 51.6%, '갈등이 반복되거나 해결되지 않음' 46.4%, '인간관계 유지에 드는 시간이나 비용 부담' 33.4%, '신뢰 부족' 31.4%, '상대의 과도한 기대나 요구' 31.4%, '소외감 또는 배제당하는 느낌' 27.6%, '비교·경쟁으로 인한 불편함' 23.1% 등 순이었습니다.
인간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했을 때는 '거리를 두고 자연스럽게 멀어진다'는 답이 37.0%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혼자 참고 견딘다' 28.4%, '직접 대화를 시도하여 해결한다' 16.8%, '주변 사람에게 상담하거나 조언을 구한다' 10.4%, '관계를 끊는다' 7.3% 등 순이었습니다.
피엠아이는 "이번 조사 결과는 다양한 사회 관계 속에서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최근에는 인간관계를 유지의 대상이 아니라 선택과 관리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