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화, 시집 『치밀한 빈틈』출간.."우리 시대 위선과 거짓에 대한 고발"

작성 : 2025-04-30 09:25:13
1982년 박관현 열사 사망 항거 투쟁 선봉
민중음악가, 공연 연출 총감독 등 다재다능
"그의 시는 그가 걸어온 길의 흔적" 평가
▲ 박종화 시인과 그의 시집 『치밀한 빈틈』

80년대 민주화 투쟁의 한복판에서 청춘을 불사른 박종화 씨가 23년 만에 제4시집 『치밀한 빈틈』(문학들刊)을 펴냈습니다.

박종화 씨는 민주투사이자 다재다능한 시인입니다.

그에게 붙는 직함들은 민중음악가, 싱어송라이터, 서예가, 공연 연출 총감독 등 다양합니다.

그는 '지리산' '파랑새', '투쟁의 한길로' 등 400여 곡을 짓고 노래했습니다.

'5·18민중항쟁 전야제', '오월 어머니의 노래' 등 여러 프로젝트의 총감독을 맡았습니다.

그뿐 아니라 '임을 위한 행진곡', '한글 소나무' 등의 타이틀로 여러 차례 전시를 연 서예가이기도 합니다.
◇ 1992년 첫 시집 『바쳐야 한다』 출간
하지만 그가 1992년 첫 시집 『바쳐야 한다』를 출간한 이후 『서글픈 고정관념』, 『지금도 만나고 있다』 등의 시집을 펴낸 사실을 아는 사람은 흔치 않습니다.

첫 시집 이후 그가 23년 만에 펴낸 제4 시집 『치밀한 빈틈』은 우리 시대의 위선과 거짓에 대한 고발이자 반성의 시집입니다.

병 주고 약을 주는 계급이 있구나
양면을 모르고 한 면만 아는 맹목의 계급이 있구나
말과 행동이 맞지 않는 갈지자 계급이 있구나

- '계급이 있구나'

속을 보라

흐르는 눈물 속에 감춰진
심장의 박동을 보라
활짝 짓는 미소 속에 웅크린
뇌의 가느다란 미동을 보라

흔들리는 꽃잎보다는
아니 움직이는 뿌리의
속을 보라

- '눈'

멀리서 보니
난파선 위의 점 하나

가까이 다가가니
점은 사람이었다

찾지 않으면
사라지고 마는
바다 위
점 같은 것

배반의 점에 가까이 가면
진실이 보인다
사람이 보인다

- '진실2'
◇ 관념이 아닌 현실, 위선이 아닌 진실을 직시
관념이 아닌 현실을, 위선이 아닌 진실을 직시하는 시인의 전언에서, 진심을 담아 전심전력으로 살아가는 오늘 이웃들의 초상을 떠올리게 됩니다.

한편, 그는 전남대학교 재학 중이던 1982년 박관현 열사 사망 항거 투쟁 당시 체포됐습니다.

1988년에는 전남대 '오월 특위' 부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그해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산하 통일 결사대 정부종합청사 시위 사건으로 구속됐습니다.

1990년에는 창작곡 1, 2, 3집 발표하여 국가보안법으로 구속됐습니다.

그러니까 그의 시는 그가 걸어온 길의 흔적이자 이정표들에 다름 아닙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