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5·18을 광주사태로 왜곡.."내란 부역자 셀프 입증"

작성 : 2025-05-04 16:02:48 수정 : 2025-05-04 16:42:19
▲ 지난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혀 있다.

5·18민주화운동을 '광주 사태'라고 왜곡한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를 향한 거센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5·18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은 4일 공동 성명을 내고 "5·18민주화운동이라는 국가에서 인정한 공식 명칭 대신 광주 사태라고 부른 한 예비후보는 스스로 내란 동조 세력이라는 것을 입증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5·18단체는 "이는 국회·헌법재판소·국가기관이 이미 확정한 민주화운동으로서의 공적 가치를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라며 "중대한 역사를 왜곡·폄훼한 자는 미래를 말할 자격도, 국민의 선택도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 지난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들이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를 향해 반발하고 있다.

또 "5·18은 사태가 아니라 헌정 질서를 수호하고 국민의 주권을 지키기 위해 피 흘렸던 숭고한 저항이자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기둥"이라며 "여전히 5·18을 부정·왜곡하는 내란 동조 세력의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고 강조했습니다.

5·18단체는 "한 예비후보는 평소 5·18에 침묵으로 일관해 오다가 이제 와서 '호남 출신'을 강조하며 표심을 얻기 위해 기억의 현장을 정치적 무대로 삼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위 공직 경력을 바탕으로 국무총리에 오른 인물로, 헌정을 파괴한 내란세력의 통치 질서에 복무했던 인물"이라고도 지적했습니다.

이어 5·18 명칭 왜곡 발언에 대해 사과하고, 오월 정신을 훼손한 것에 책임을 지고 관련 행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 지난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들이 손팻말을 들고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를 향해 반발하고 있다.

한 예비후보는 지난 3일 헌정회를 예방한 뒤 국립5·18민주묘지 참배 무산 상황을 설명하면서 '광주 사태'라는 표현을 2차례 썼습니다.

'광주 사태'는 전두환 신군부가 자신들이 일으킨 폭동과 유혈 진압을 감추기 위해 쓴 표현으로, 대표적인 역사 왜곡입니다.

1995년부터 5·18민주화운동은 1979년 12월 12일과 1980년 5월 18일을 전후해 발생한 헌정질서 파괴 범죄와 반인도적 범죄에 대항해 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됐습니다.

▲ 강기정 광주시장이 SNS에 올린 글 [강기정 광주시장 페이스북]

강기정 광주시장도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 계정에 "5·18을 광주 사태라고 반복하는 것을 보니 부끄러움이 밀려온다"며 "한 후보, 광주 사태가 아니라 5·18 민주화운동이며 법에 그리돼 있다"고 글을 적었습니다.

또 "지난 45년 겹겹이 쌓인 기억과 아픔의 첫 겹조차 모르는 호남 사람"이라며 "그래서 더 부끄럽고 화가 난다"고 남겼습니다.

▲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을 열어 "정부가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여 5·18민주화운동을 기린 것이 1997년"이라며 "평생을 정부에서 일한 사람이 이것을 몰랐다니 충격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광주 사태 지칭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무시이고 민주주의에 대한 무시"라며 "아직까지도 5·18민주화운동을 '광주 사태'로 멸칭한다는 사람이 대체 무슨 이유로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하려고 했느냐"고 꼬집었습니다.

▲ 지난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

한편 대선 출마 뒤 호남 출신을 강조한 한 예비후보는 공직자 재직 때 고향을 의도적으로 숨겼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습니다.

그는 보수 정권에서는 전북 전주 출신이라고 하지 않았다가 김대중 정부 때 출신지를 내세웠고, 언론에 본적을 서울로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