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고령이나 질병이 닥쳤을 때 요양보호사에 의존할 생각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우자가 돌봐줄 것이라는 사람도 10명 중 3∼4명이었며, 자녀에 의존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40세 이상 남녀 1천 명을 상대로 지난달 25∼30일 실시해 21일 공개한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입니다.

응답자의 39%는 '요양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답했고, '배우자가 돌볼 것' 35%, '스스로 나를 돌봐야 한다' 21%였습니다.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4%에 그쳤습니다.
전체 응답자 과반인 58%(기혼자 52%·미혼 87%)는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고, 10%는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
선호하는 돌봄 장소는 '현재 살고 있는 집' 47%였고, '살던 지역 내 돌봄 받기 좋은 집' 32% 등 거주지에서 살면서 돌봄 받기를 원한다는 비율이 80%에 육박했습니다.
노인복지주택과 요양원은 각각 7%에 그쳤습니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를 물었을 때 '자택'이라는 답이 절반 가까운 48%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이 31%, 요양병원이 12%였습니다.
그러나 실제 임종 장소로는 종합병원(29%)을 가장 많이 예상했으며, 이어 요양병원(25%)이었습니다.
'연명의료를 원하지 않는다'는 답은 전체의 93%로 대다수였으며, 임종에 대한 결정은 '스스로', '가족과 상의하겠다'는 비율이 각각 44%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