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텔레콤 유출 사고 조사 과정에서 기존에 해킹 피해를 봤던 홈가입자서버(HSS) 등 5대 외 통합고객시스템(ICAS) 서버 2대를 포함해 총 18대 서버에서 악성코드가 추가 감염된 것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해당 18대 서버에는 이름, 생년월일,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단말기식별번호(IMEI), 가입자식별번호(IMSI) 등 고객의 중요 개인정보를 포함해 총 238개 정보(컬럼값 기준)가 저장됐습니다.
특히 악성코드에 최초 감염된 시점이 약 3년 전인 2022년 6월인 점을 고려해 감염 경위와 유출 정황을 면밀히 조사 중이라고 개인정보위는 전했습니다.
앞서 개인정보위는 기존에 유출됐다고 발표된 가입자의 휴대전화번호, IMSI, 인증키 등 유심 정보를 개인정보라고 판단해 유출이 확인됐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모든 정보주체에 개별 통지하고 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SKT에 주문한 바 있습니다.
개인정보위 유출 조사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것으로 정보통신망법에 근거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의 침해사고 조사와는 구분됩니다.
이 조사의 핵심은 개인정보 유출 대상과 피해 규모 확정, 사업자의 안전조치 의무 위반에 대한 확인입니다.
개인정보위는 피싱·스미싱에 대한 대처 방법을 안내하고 유출된 정보가 유통될 것을 대비해 인터넷이나 다크웹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