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사망 특검' 조태용 전 국정원장 소환...尹 격노 인정할까

작성 : 2025-07-29 06:53:25
▲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답변하고 있는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연합뉴스]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29일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합니다.

조 전 원장은 이날 오전 9시 30분쯤 서울 서초구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할 예정입니다.

채 상병 사건과 관련한 첫 소환 조사입니다.

그는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에서는 소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지난 윤석열 정부 외교안보라인의 핵심으로 꼽히는 조 전 원장은 이른바 'VIP 격노'가 있었다는 2023년 7월 31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당시 국가안보실장으로 참석했습니다.

VIP 격노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채 상병 사건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이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이 돌연 경찰 이첩 보류와 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는 의혹입니다.

조 전 원장은 당시 회의 이후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남아 윤 전 대통령과 별도로 대화했고,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가 경찰에서 회수된 그해 8월 2일에는 이 전 국방장관과 통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아울러 특검이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 로비의 중간 연결고리로 의심하는 김장환 목사와 통화한 것으로 드러나 구명 로비에도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특검팀은 조 전 원장을 상대로 문제가 된 수석비서관회의 전후 상황과 이후 윤 전 대통령의 지시 내용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민영 특검보는 전날 브리핑에서 "채 상병 수사 결과가 대통령에게 보고된 경위와 최초 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대통령이 어떤 반응을 보였고 누구에게 어떤 지시를 했는지, 이러한 지시가 수사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조 전 원장은 지난 2023년 국회에서 윤 전 대통령의 격노와 사건 이첩 보류 지시 의혹에 대해 "그런 사실이 없다"며 "안보실의 임무는 국정 전체를 보좌하는 것이지 특정 사안의 수사 과정 디테일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회의 참석자들이 특검 조사에서 기존과는 다른 진술을 내놓은 상황이어서 그 역시 진술 태도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앞서 해당 회의에 참석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과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등은 특검 소환조사에서 "당시 대통령이 격노한 것을 목격했다"고 진술한 바 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