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하남산단에 이어 북구 본촌산단에서도 지하수 오염 사실이 확인됐음에도 불구하고 수년째 정화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1급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며 검출되었지만, 광주 북구는 예산 문제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15일 광주 북구에 따르면, 북구는 2019년 1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해 본촌산단 일대에서 지하수와 토양 오염 실태조사를 진행했습니다.
광주시가 2019년 지하수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본촌산단 일부 지점에서 오염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뤄진 정밀 조사였습니다.
조사 결과, 총 43개 지점 중 14곳에서 TCE(트라이클로로에틸렌) 항목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옛 로케트건전지 부지에서는 공업용 수질 기준치의 9배 , 호남샤니 부지에서는 11배에 달하는 높은 수치가 검출돼 심각성을 더했습니다.
TCE는 금속공업 부품 세정제나 접착제 첨가제, 농약 등에 사용되는 1급 발암물질입니다.
다른 발암물질인 PCE(테트라클로로에틸렌)는 모든 지점에서 기준치 미만이었으며, 토양 시료 채취 결과에서도 오염물질은 기준치 아래거나 불검출됐습니다.
북구는 이러한 오염이 본촌산단이 조성된 이후 관련 법령이 마련되기 전인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사용된 TCE, PCE 등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조사 보고서에는 양수 처리 공법을 적용해 오염 지하수를 정화하고 오염 확산을 차단하는 대책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위한 사업비로 약 54억 원이 산정되었습니다.
그러나 북구는 2022년 본촌산단 하류에 수질 변동을 감지하는 보조관측망 1대를 추가 설치하는 것 외에는 지금까지 별다른 조치를 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광주 북구 관계자는 "지하수 오염 조사가 마무리된 이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과 연계해 사업비 확보를 시도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올해 환경부가 추진하는 '토양·지하수 환경조사' 사업 대상지에 본촌산단이 포함돼 있어, 연말에 나오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시 대책을 세우겠다는 방침입니다.
북구 관계자는 "주민의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조속히 정화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수년째 방치된 오염 문제가 잇따라 드러나게 되면서 주민들의 불안감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