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가 12일 단행한 경찰 고위직 2번째 승진 내정 인사로 경찰청장(치안총감) 바로 밑 직급인 치안정감 7자리가 모두 물갈이됐습니다.
지난 6월 임명된 유재성 경찰청 차장과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에 이어 이날 추가로 5명이 승진 대상에 오르면서입니다.
발탁된 5명 중 전남 출신은 한창훈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무안), 박정보 경찰인재개발원장(진도) 등 2명입니다.
또 김성희 경남경찰청장(청도), 황창선 대전경찰청장(화성), 엄성규 강원경찰청장(제주) 등 영남·수도권·제주 출신이 각 1명씩 명단에 올랐습니다.
앞선 2명의 승진자(유재성·부여, 박성주·보성)까지 합하면 치안정감 7자리 중 호남이 3자리, 나머지 지역은 1자리씩 분배됐습니다.
입직 경로별로는 보면 경찰대 출신이 4명(유재성·박성주·황창선·김성희), 간부후보 출신이 3명(박정보·한창훈·엄성규)입니다.
다만, 이번 인사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오히려 명단에 들지 못한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입니다.
지난 2월 탄핵정국 속에서 치안정감으로 승진 내정됐지만, 7개월 만에 이름이 삭제되며 치안감으로 다시 '강등'됐기 때문입니다.
경찰에서 승진 내정이 취소되는 것은 전례를 찾기 힘든 일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박 직무대리는 전직 대통령 윤석열 탄핵심판 동안 헌법재판소 인근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유혈 사태를 막는 등 성공적 경비 작전을 이끈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에서 근무하고 초고속 승진한 점,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을 역임하며 계엄 연루 의혹이 제기된 점 등이 인사에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르면 주말께 윤곽이 나올 보직 발령에서 자신이 사실상 대표했던 서울청장의 참모 등 치안감 자리로 배치되는 '수모'를 겪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박 직무대리는 현재 특검 수사 등의 참고인이지만, 시민단체의 경찰 고발로 피고발인 신분이라 자진해서 사퇴할 수 없는 상황으로 알려졌습니다.
댓글
(0)